버베나(마편초) 여름 화단을 보라색으로 수놓는 꽃이다. 꽃들이 흩어지지 않고 잎 위로 한 곳에 집중적으로 모여 피기 때문에 단합이 잘 되는 듯 싶다. 한 두 개체가 달랑 서 있는 것보다는 군락을 이루고 있으니 보기가 좋다. 화단용 일년초로 많이 이용되는데 키가 작아 화단 앞부분에 모아 심어두면 좋다. 가정에서 실내 분화용으로도 기른다. 종종 화분에 심어 베란다나 발코니에 두고 관상하기도 한다. 우리 풀꽃 2022.09.30
과남풀(칼잎용담)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겉에 가는 줄이 4개 있고, 보통 자줏빛을 띠며, 높이 20-10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이다. 잎 가장자리와 잎줄 위에 잔돌기가 있어 까칠까칠하다. 꽃은 8-10월에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1개 또는 몇 개가 달리며,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이다. - 인제 용대계곡 - 우리 풀꽃 2022.09.28
미천골 구절초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아시아이다. 고지대의 능선 부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며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란다. 잎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꽃은 머리모양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모양이 작고 익어도 터지지 않는 수과로 열리고, 종자는 9~11월에 성숙한다.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번식이 매우 강하다.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우리 풀꽃 2022.09.25
고대산의 야생화 연천 고대산자연휴양림에 둥지를 틀고, 고대산 등산을 하면서 등산길 주변의 우리풀꽃들이 나그네를 마중합니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못한 그 꽃. 우리 풀꽃 2022.09.21
나도송이풀 송이풀의 한 종류로 키나 잎, 꽃 등이 송이풀을 닮아 ‘나도’라는 명칭이 붙었다. 송이풀에 비해 전체에 부드러운 선모가 많이 나 있으며, 잎의 폭이 약간 더 큰 편이다. 송이풀은 이 풀의 꽃이 피어나기 시작하면 송이를 따기 시작한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나도송이풀은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반기생 한해살이풀로, 반그늘 혹은 양지의 풀숲에서 자라며, 키는 30~60㎝이다. 우리 풀꽃 2022.09.19
구절초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아시아이다. 고지대의 능선 부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며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란다. 잎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꽃은 머리모양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모양이 작고 익어도 터지지 않는 수과로 열리고, 종자는 9~11월에 성숙한다.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번식이 매우 강하다.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우리 풀꽃 2022.09.19
꽃며느리밥풀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반기생성 일년초. 높이가 30-50cm정도로 자란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중앙부의 잎은 좁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5-7cm, 나비 1.5-2.5cm로서 점첨두이고 원저 또는 쐐기모양이며 양면에 짧은 털이 산생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7-10mm이다. ●꽃말 : 질투 우리 풀꽃 2022.09.13
숫잔대 산이나 들의 습기 있는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외대로 곧추서며 높이 4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또는 드물게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깊게 갈라진 입술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타원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우리 풀꽃 2022.09.04
진노랑상사화 다년생 초본, 인경은 구형 잎은 선형, 길이 30~40cm, 폭 18~25㎜, 연한 녹색이며 5월에 말라 없어진다. 꽃은 7~8월 진한 노랑색 개화하는 산형화서이며, 화피열편은 6개, 수술은 6개, 자방하위, 3실이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우리 풀꽃 202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