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지빠귀 목욕탕 깊은산속 옹달샘이 되지빠귀의 전용 목욕탕이 되었습니다. 참 시원하시겠습니다. 되지빠구는 러시아 극동 남부, 중국 동북부, 한국 등지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서 월동한다. 다소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며, 다소 흔하게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4월 초순부터 도래해 번식하고, 10월 중순까지 관찰된다. 울창한 산림에서 생활한다. 지렁이와 곤충의 애벌레를 먹으며, 열매도 즐겨 먹는다. 생태 자료 2024.05.22
쏙독새 소리 강천섬 밤길 산책중 들리는 쏙독새 소리입니다. 쏙독새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흔한 여름철새이다. 국제적으로는 구북구(舊北區) 동부, 남아시아,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학명은 Caprimulgus jotaka이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어두운 숲속이나 우거진 나뭇가지에 있을 때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위장술이 강하다. 쏙독새라는 이름은 ‘쏙∼쏙’이라고 우는 소리를 바탕으로 명명되었다. -지식백과- 생태 자료 2024.05.17
단풍나무 씨앗 멀리 더멀리 자신의 유전자를 더멀리 더많이 더넓게 퍼뜨리고픈 단풍나무입니다. 씨앗이 꼭 부메랑을 닮아서 비행하기에 잘 고안된 걸작입니다. 자연의 신비로움은 무한합니다. 생태 자료 2024.05.15
머위잎의 일액현상 텃밭가에 머위와 참나물잎에 영롱한 일액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일액현상(溢液現像)은 목초 및 여러 균류와 같은 일부 관다발 식물의 잎 끝이나 가장자리에 물관부에서 흐르는 수액이 배출되는 것이다. 일액현상은 대기에서 수증기가 식물 표면에 응축되는 이슬과 혼동되어서는 안된다. 일액현상은 일반적으로 야간에 발생한다. 생태 자료 2024.04.26
쇠딱따구리 꽃피는 봄날 목련나무 죽은 가지에 쇠딱따구리가 정신없이 먹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쇠딱따구리는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에 속하는 작은 새로, 중국과 일본, 한국 등이 원산지이고, 야산과 산림, 공원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가재와 딱정벌레, 거미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13~15cm 정도이고, 무게는 12~21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생태 자료 2024.04.05
청딱따구리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에 속하는 중형의 딱따구리.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산림과 임야에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이며, 매미와 메뚜기, 나비 등을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25~28cm 정도이고, 무게는 130~180g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생태 자료 2024.03.18
물총새 이녀석은 여름 철새인데 기후변화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 텃새가 다 되었나 봅니다. 파랑새목 물총새과에서 가장 작은 종(種)이며 한국 전역에서 번식하는 여름새. 대서양과 일본 등이 원산지이다. 식성은 잡식이며, 개구리와 딱정벌레를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약 15~17cm, 무게는 약 36~45g이다. 포란기간은 약 20일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생태 자료 2024.03.16